본문 바로가기
2020Y/1분기

산업분석 시리즈5(식품_두부,나물)

by 즐거운재텍공부 2021. 1. 13.
반응형

[두부]

두부는 1인 가구,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인해 가정에서 취식하는 횟수가 줄어들며 소비 역시 감소세였으나 COVID-19이후로는 가정내 취식이 늘면서 두부 소비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만, 고혈압, 당뇨 등 대사증후군 예방과 육류를 대체하는 건강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두부만이 아닌 식물성단백질을 이용한 일품 요리, 반찬, 간식 형태의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고, 식물성단백질을 기반으로 하는 식단도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빠르고 간편한 조리를 위해 두부를 중심으로 하는 식물성단백질 제품군과 소스를 결합한 편의성 제품이 증가하고 있으며, 두부에 다양한 맛을 가미한 충진두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두부를 기존 조리법이 아닌 다양한 조리법으로 응용하는 소비자(Modisumer)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존 국/찌개, 부침 중심의 요리 소재에서 탈피하여, 간편한 반찬과 요리, 건강한 간식까지 콩의 건강함을 담은 다양한 제품 출시를 통해 두부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입니다.


[나물]

콩나물 시장은 성숙기 시장으로, 경쟁 심화에 따라 국산콩나물의 증량 행사를 통해 지속적인 가격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반면 수입콩나물은 소비자의 Value for Money 제품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며 신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물 취식 형태를 조사해본 결과, 콩나물은 한정된 조리 형태 및 반찬류 또는 부재료로 인식되면서 시장이 정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숙주나물은 볶음, 전골 등 다양한 형태의 요리로 즐겨 먹으며 숙주나물 자체를 메인요리로 인식하고, 외식문화가 증가하면서 젊은층에게 인기를 끌어 매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