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의 성장성
제3자 물류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으며, 국내 기업의 제3자 물류 활용율이 일본이나 북미, 유럽 대비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신선물류 시장의 대부분을 식품산업이 차지하고 있고 국내 식품산업의 총생산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의 식품 품질 향상 및 안전성 의식 제고에 따른 니즈의 변화로 상온물류 대비 신선물류 시장이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신선물류 시장 성장세에 신규업체 진입 등의 영향으로 물량 유치를 위한 저단가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물류의 원가구조상 현장 운영 인건비 및 유가 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는데, 매년 최저시급 인상에 따른 인건비 증가 및 최근 유가 상승 추세로 손익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유가 인상요인을 방어하기 위해 에코드라이빙 캠페인, 계약 주유 등을 통해 원가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해외 유수 대기업들은 자사의 핵심사업에 집중하는 한편 물류부분의 경우 전문 3자 물류기업들에게 아웃소싱 비율을 높이고 있는 것에 비해 국내 산업시장은 이와는 정반대로 대기업들 대부분이 물류자회사를 통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의 도입으로 인한 '스마트 팩토리'는 물류업계에도 적용이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소형화물을 배송하는데 무인항공기 드론이 투입되는가 하면, 제조/유통산업 현장에서는 IoT기술과 로봇을 통해 소량다품종 생산체계에 유연성을 더하면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스스로 작업 수 있는 물류센터가 요구되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COVID-19 팬더믹 여파로 타사 물류센터에서는 바이러스 감염등이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인한 물류센터의 운영불가 상황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물류센터 구성원의 철저한 방역과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경쟁상황 및 시장의 안정성
제3자 물류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세로 신선물류시장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단가 전략의 신규업체들이 진입하고 있어 유치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형할인점의 자가물류센터 구축 및 자가배송 확대 경향이 지속됨에 따라 직접 배송물량의 감소 및 저매출 소규모 매장의 증가로 차량 배송 효율성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향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지속적인 물류서비스 품질 개선 및 자동화 설비 도입 등을 통한 원가 경쟁력 확보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 풀무원 2020. 3분기 보고서
'2020Y > 1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분석 시리즈6(식품_계란,면) (0) | 2021.01.15 |
---|---|
산업분석 시리즈5(식품_두부,나물) (0) | 2021.01.13 |
산업 분석 시리즈4(건설산업) (0) | 2021.01.11 |
산업 분석 시리즈3(택배산업) (0) | 2021.01.10 |
산업분석 시리즈2(계약물류) (0) | 2021.01.08 |
댓글